특정 기업보다 산업에 투자하고 싶을때는? - ETF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특정 기업에 대해서 다루는 것이 아닌 다양한 기업들을 한 번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2020년은 테크 기업들이 강한 성장세를 보여준 해였습니다. 대표적인 테크 기업들을 FAMANG(Facebook, Apple, Microsoft, Amazon, Netflix, Google)이라고 줄여서 부릅니다.
만약 이 기업들 모두에 투자하고 싶어서 1주씩 매수한다고 가정할 때 필요한 비용을 계산해보겠습니다. (2021/01/22 종가 기준)
- Facebook (FB) - $274.5
- Apple (AAPL) - $139.07
- Microsoft (MSFT) - $225.95
- Amazon (AMZN) - $3292.23
- Netflix (NFLX) - $565.17
- Google (GOOG) - $1901.05
이 6개 기업을 1주씩 매수할 경우 $6397.97(약 707만 원).....이나 필요합니다. 이렇게 큰 금액을 쉽게 투자하기는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들은 더 힘들죠....)
그래서 기업들의 분야나 특정 지수에 포함되어 있는 특징 등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종목들을 적정한 비율로 모아둔 것을 ETF(Exchange Traded Fund)라고 합니다.
종목 한 개 한 개씩 거래할 필요 없이 다양한 종목들에 한 번에 투자할 수 있으며 운용사에서 운용보수를 가져가긴 하지만 상황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조절한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또한 시장을 추종하는 ETF의 경우 나스닥이나 S&P지수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특정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가격이 안정적인 것이 장점입니다.
지수를 추종하는 ETF
미국에는 대표적인 3대 지수가 있습니다. (각 지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나스닥(Nasdaq)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
- S&P 500
대표적인 3대 지수인만큼 각각의 지수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 ETF들이 있습니다.
- 나스닥 - QQQ
- 다우존스 - DIA
- S&P 500 - SPY, IVV, VOO
위 그래프는 S&P500 지수와 이를 추종하는 SPY, IVV, VOO의 그래프들을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보시면 ETF들이 S&P500 지수와 정말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각 ETF마다 비율을 정하는 규칙이 각자 다르기 때문에 종목들은 비슷하더라도 변동성이 달라집니다.)
이후에 3대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들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슷한 분야 기업들은 모아둔 ETF
각각의 지수에는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진 기업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성격이 강합니다. 그래서 IT, 헬스케어, 우주산업 등 해당분야의 기업들을 모아둔 ETF가 생겨나기 시작하였습니다.
- 기술업종 - XLK
- 헬스케어 - XLV
- 필수소비 - XLP
- 우주산업 - UFO (이건 이름 참 잘 지은 거 같아요 ㅋㅋㅋ)
이렇게 공통점들을 가진 기업들을 묶어놓고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는 ETF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ETF에 대한 내용이 정말 방대합니다. ETF를 고를 때 봐야 할 것들만 해도 운용사나 운용보수, 배당금, 비중 등 정말 많은 것들을 고려해야 하며 인버스, 저변동 고배당과 같이 다양한 종류들이 있습니다.

모든 내용을 한 번에 다룰 수 없어서 차근차근 하나씩 올릴 테니 ETF에 투자하고 싶으신 분들은 모두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대해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