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 소개/기업

삼성전자를 발밑에 두고 있는 파운드리 분야 1위 TSMC (TSM)

집콕 대학생 2021. 1. 21. 09:30
728x90
반응형

 

Wikipedia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할 기업은 삼성전자의 추격을 받고 있지만 파운드리 시장 세계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대만의 TSMC입니다.

 

우선 반도체 기업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팹리스(Fabless) - 설계나 기술개발만 하고, 파운드리 기업에게 위탁생산을 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Ex. 애플, 퀄컴, 엔디비아 등)
  • 파운드리(Foundry) - 팹리스 기업의 반대로 위탁 생산만 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Ex. TSMC, UMC 등)
  • 생산 및 설계(IDM) -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두 직접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Ex. 삼성전자, 인텔 등)

 이 중 TSMC는 타기업으로부터 설계도를 받아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는 파운드리 기업입니다.

TSMC에게 생산을 맡긴 기업에는 애플(AAPL), AMD(AMD), 퀄컴(QCOM), 엔디비아(NVDA) 등 거대한 기업들이 있습니다. 인텔(INTC)은 자체생산을자체 생산을 하고 있으나 물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TSMC에게 맡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최근 인텔이 자체 생산을 포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들이 제기되면서 TSMC가 이마저도 생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TSMC가 삼성전자보다 앞서가는 이유에는 TSMC의 모토인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가 있습니다. 이 모토가 팹리스 업체들이 기술유출을 걱정하지 않고 생산을 맡길 수 있게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스마트폰의 두뇌역할을 하는 애플의 A 시리즈, 퀄컴의 스냅드래곤,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등이 있습니다. 이중 팹리스 기업인 애플과 퀄컴은 생산을 삼성전자가 아닌 TSMC에게 맡겼습니다. 모두 같은 역할을 하는 칩셋을 연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계와 생산을 모두 하는 삼성전자에게 외주를 맡기는 것은 충분히 기술유출을 걱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삼성 엑시노스의 성능이.. 세 기업 중 가장 안 좋습니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488850&memberNo=28983946&vType=VERTICAL

반응형

 

TSMC가 설계를 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세계 1위를 지키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전의 글에도 적었듯이 한정되어 있는 ASML사의 EUV 장비를 얼마 많이 도입하는가에 파운드리 기업들의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의 속도가 달려있다고 한적이 있습니다. (모르시겠다면 아래의 글 보고 와주세요!!)

2021/01/19 - [주식(반도체)] - 삼성전자에게 을인 동시에 갑인 ASML (EUV공정)

 

삼성전자에게 을인 동시에 갑인 ASML (EUV공정)

네덜란드 반도체 노광장비 세계 1위(거의 뭐 독점...) 기업 ASML의 실적 발표(1/20)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컨퍼런스콜은 한국 기준 오후 11시에 진행되지만 보도자료는 오후 3시에 발표되며,

colocholoc.tistory.com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직접 ASML의 본사가 있는 네덜란드에 EUV 장비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갔는데 이때 확보한 물량이 10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작년에 TSMC는 40대를 공급받은 것으로 알려져 삼성전자와 TSMC의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TSMC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분야에 투자할 예정인 연평균 10조원의 3배인 30조원 투자 계획을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따라 잡히기 않기 위해서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EUV 장비 한대에 약 2000억.....)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25&aid=0003059180
TSMC 주가

 

주가 차트를 보면 최근 1주일 사이에 14일, 19일 급등한 것을 볼 수 있으며 14일은 실적발표, 19일은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이 구속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2020년 Q4분기 실적이 상당히 좋게 나오면서 급등하였고, 강력한 경쟁사인 삼성전자를 사실상 이끌고 있는 총수가 구속되면서 경쟁에서 앞서 나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년 Q4 TSMC의 실적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TSMC도 상당히 매력적인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세계 반도체 생산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에 시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점점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대만 기업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팹리스 기업들인 AMD와 엔디비아 대표인 리사 수와 젠슨 황이 모두 대만계 미국인이기 때문에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삼성전자를 발 아래에 두고 있는 TSMC, 매력적으로 느껴지시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728x90
반응형